팁스 준비를 하면서 표준화 전략에 대해 써야했다.
이때까지 부트캠프나 친구들끼리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면서 표준화전략을 세워본적이 없었다.
그래서 많이 생소하고 어려워서 알아봐야겠다고 생각했다.
먼저 표준화 전략에 대해 PPT를 작성하면서 표준 단체에 대해 알아보았다.
인공지능 표준 단체로는 ITU-T, ISO/IEC JTC 1, IEEE, W3C, Khronos Group, ONNX 등이 있다고 한다.
이중 ITU-T와 IEEE는 무인화, 헬스케어, 로봇 등 전 산업영역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술을 표준화하고 있다.
ISO/IEC JTC 1은 인공지능 시스템 자체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하며, W3C는 웹영역에서의 머신러닝 활용,
Khronos Group, ONNX는 머신러닝 모델의 교환 포맷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중이다.
ITU-T는 산하에 기술적 영역으로 분류된 SG(study Group)을 운영하여, 다양한 분야의 표준화를 진행한다.
아래표는 각 SG에서 개발 중이거나 개발 완료된 표준 아이템을 나타낸다.
IEEE는 프로젝트 단위로 표준화를 진행한다. P7000그룹을 통해 인공지능 시스템 적용에 필요한
윤리 및 사회적 관심에서 표준을 개발한 것이 대표적이다.
의료, 산업자동화, 멀티미디어, 클라우드/엣지 컴퓨팅 영역에서 표준화가 진행중이다.
ITU-T와 IEEE의 표준 아이템을 분석하면 현재 인공지능 활용 산업 분야는
크게 컴퓨팅, 로봇 및 무인 자동화, 멀티미디어, 의료, 네트워크, 데이터 운용 및 보안 6가지로 나뉜다고 한다.
이렇게 있다고 하는데 우리 팁스 표준화 전략에 쓸만한 내용이 많지 않았다.
팁스 주제가 위 6가지 분류에 어디에 속하는지 애매했다.
그래서 우선 데이터 처리와 소프트웨어에 대해 국제 표준을 찾아보았다.
데이터는 회사에서 직접 수집하고 관리할 예정이라 품질과 정보보호에 대해 찾았다.
'ISO/IEC 27001'
ISO/IEC 27001는 국제표준화기구 (ISO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및 국제전기기술위원회 (IEC :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에서 제정한 정보보호 관리체계에 대한 국제 표준이자 정보보호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제 인증으로, 정보보호정책, 기술적 보안, 물리적 보안, 관리적 보안 정보접근 통제 등 정보보안 관련 11개 영역, 133개 항목에 대한 국제 심판원들의 엄격한 심사와 검증을 통과해야 인증된다.
먼저 이 내용을 찾아서 ISO/IEC 27001의 인증을 받으면 정보보호에 대해
표준화전략이 세워진다고 생각했지만 엄격한 심사때문에 대체 인증방법에 대해 더 찾아볼 예정이다.
'ISO/IEC 25024:2015'
ISO/IEC 25024:2015는 ISO/IEC 25012에 정의된 특성 측면에서 데이터 품질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측정을 정의합니다. 각 특성에 대한 기본 데이터 품질 측정 세트, 데이터 수명 주기 동안 품질 측정이 적용되는 대상 엔터티의 기본 세트, 데이터 품질 조치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 데이터 품질 요구 사항 및 평가에 대한 자체 조치를 정의하는 조직을 위한 지침 등이 포함된다.
그 외에도 앞으로 내가 개발할 추천 고착화, 편향화 방지 알고리즘과
오토태깅시스템에 대한 특허와 표준화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처음에 AI에 대해서 표준화가 있을줄 몰랐는데 알아보니 있다는거에 신기했다.
팁스 AI 기술 PPT를 만드는데 오래 걸리고 있어 알고리즘 문제를 풀지 못하고 있는게 조금 아쉽다.
표와 글에 대한 출처는 아래 사진과 논문, ISO 사이트에서 참고하였다.
'개발 > AI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용량 처리에는 for 루프보다 numpy, df 벡터를 사용해보자. (0) | 2024.01.11 |
---|---|
파이썬 각종 OCR 사용해보기 및 네이버 클라우드 AI OCR 사용법 (2) (0) | 2023.04.05 |
머신러닝(CatBoost, LightGBM, XGBoost) 공부하기 (0) | 2023.03.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