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AWS

AWS 포트(방화벽) 연결 실수 해결 [ufw 문제]

beomcoder 2023. 10. 17. 10:12
728x90
반응형

포트를 열었어야 했는데 인터넷에서 다 찾아보고 했는데 연결이 안되서 정말 답답했었다. 나는 내가 모르는거나 안되는게 있으면 답답하고 어떻게라도 해결을 봐야해서 거의 새벽, 하루동안 구글, 스택오버플로우, GPT, 빙 등 모든 검색사이트에서 열심히 찾아보아서 해결했다.

 

나의 상황은 우선 플라스크로 간단하게 서버 백엔드와 통신해줄 API서버를 만들고 있었다. AWS에 서버를 하나 만들고 연결을 해서 서버를 만들고 있었는데 테스트서버와 본서버를 둘다 돌려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래서 포트를 하나 더 열어야했는데 8000번 포트는 원래 쓰고 있었는데, 추가로 테스트서버 포트 8001을 열어야 했다.

 

나의 AWS 서버에 들어가서 Security에 들어가서 인바운드규칙을 추가해주어야 한다. 여기서 이제 열고 싶은 포트번호를 입력하여 열면 된다. 나는 TCP로 4000번 포트를 열었고, 포트번호를 헷갈리지 않으려 test_server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그리고 나서 아웃바운드 규칙은 처음에 전부 열어버렸으니 따로 추가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API서버를 돌리고 접속해보았더니 4000번 포트가 연결이 되지 않아서 당황했다. 보통은 여기서 모두 해결된다고 한다. 

 

sudo netstat -antp

 

netstat으로 확인해보니 포트는 제대로 열려있는 듯 해서 검색해보니 다들 인바운드 규칙만 추가하라는 말을 해서 속으로 왜 안되는거지라고만 생각했다. 퇴근시간이 되어 집에서 마저 검색을 해보니 원인은 알게 되었다. 서버를 만든지 한 10개월정도 되가는데 처음 만들때 인터넷 검색으로 이것저것 설정했다가 ufw 설정을 해두어서 생긴 문제였다.

 

sudo ufw enable
sudo ufw status

 

ufw status를 확인해보니 4000번포트가 허용되어있지 않아서 생긴 문제였다.

 

sudo ufw allow 4000

 

4000번 포트를 허용시켜주고, 다시 해보니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어 다행이었다.

 

 

728x90
반응형